2018년 5월 28일 월요일

겨울철 얼음/고드름 녹은 후 파이프가 아닌 바닥이 박살

겨울철 얼음/고드름 녹은 후 파이프가 아닌 바닥이 박살




지난 겨울 홈통에 얼음이 얼었을 때는 그냥 추워서 그런가보다 했습니다.

하지만 얼음이 점점 얼면서 배수로를 막기 시작하더라구요.




이때는 그냥 그런가보다 했습니다.




이때도 어! 배수로가 막혔네? 하며 그냥 그런가보다 했습니다.




그런데 점점 옆으로 넓어지기 시작하더군요




그리고 파이프 박살

옆으로 물이 줄줄

얼음도 덩달아 매달리기 시작하고...





날씨는 계속 춥고

눈은 오고,

눈녹은 물은 지붕에서 안빠지고

대신 얼음덩어리가 떨어지더라구요..




그래도 봄은 오고 얼음이 점점 녹아 없어졌습니다.

이때까지만 해도 그런가보다 했는데...






그런데 바닥이 보이시나요...

갈라지고 깨지고

풍파를 아주 집중적으로 맞아버렸습니다...



지난 겨울 홈통에 매달린 얼음덩어리를 보면서 이를 그냥 지나가는 일이라 생각 했었습니다.

사람이 많이 다니지 않는 곳이였고 별일 있겠어 하는 안일한 생각도 있었고요.

파이프가 갈라져 조금 스트레스가 있었지만

실리콘으로 바르면 되지 않을까 했습니다.





하지만 깨진 바닥을 보니 이건...

늦어지면 대공사하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보시는 것처럼 물이 고여서 배수로로 빠지지도 않아요

여튼

파이프도 깨지고, 바닥도 깨지고 통장도 깨진

겨울 즐거운 이벤트였습니다.

겨울철 홈통/빗물받이 얼음 고드름 녹는 중

겨울철 홈통/빗물받이 얼음 고드름 녹는 중



날씨가 따뜻해지자 홈통에 매달려 있던 고드름 들이 녹기 시작했습니다.

소방관이 말한 것처럼 이제 녹아 없어지나 보다 했죠.




그런데 왠걸...

얼음이 퍽퍽 떨어지더니

깨져서 사방으로 튕겨나가더라구요




얼음 사이즈는 주먹만한 것에서 부터 팔뚝만한 것들이 떨어졌습니다.




빗물 홈통이랑 같이 떨어지지 않은게 다행이기는 하지만

사람이나 지나가는 차량에 맞으면 큰사고가 날 것 같았습니다.




시간이 지날 수록 얼음이 빨리 녹아 없어지면 좋겠는데

겨울이라 그런가 잘 녹지도 않는것 같아요.

그래도 꾸준히는 작아지는 것 같습니다.



얼음이 녹는 물도

처음에는 똑똑 귀엽게 떨어지는데요




자세히 보면

얼음과 파이프 사이에 물이 줄줄 흘러 내려가고 있습니다.

이러니 얼음이 통채로 떨어져 나가도 이상하지 않은 거죠.




하지만 시간이 지날 수록 얼음은

점점 작아지고 있습니다.

다행이 큰 사고 없이 올겨울 넘어가는 것 같네요.



물론 얼음이 떨어지는 주가가 빨라지고 있고

시각적으로도 위태로워 보이기도 합니다.

당연한 말이지만

해빙기 눈녹는 시기에는 더욱더 조심해야 합니다.



보통 홈통에 얼음이 어는 것은 배관 내부에 얼어서 막히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이렇게 밖에 얼음이 얼었다는 것은 파이프 밖으로 물이 넘쳤거나

파이프가 깨져서 물이 세서 그런 것이 였습니다.



여름은 괜찮을 수 있겠지만

이런 파이프는 내년 겨울에 또 말썽을 일으키겠죠..

다음 겨울이 오기전에 준비해야 겠습니다.

2018년 5월 27일 일요일

겨울철 홈통/빗물받이 점점 커지는 얼음덩어리

겨울철 홈통/빗물받이 점점 커지는 얼음덩어리




홈통이 깨져 생긴 고드름 기둥은 시간이 지날 수록 점점 두꺼워 지는 것 같았습니다.

얼음이 녹다 다시 얼면서 고드름은 커지고 기둥 아랫부분이 점점 두꺼워져

점점 위험해 보이기 시작했어요.



상단에서 녹아 내린 물방울은 중간 중간 큰 고드름을 만듭니다.



그렇다고 위부분의 얼음이 작아지는게 아니더라구요.

저 얼음은 어떻게 커지는 건지....




빙벽 클라이밍도 가능할 것 처럼 얼음이 얼어버리더라구요.

하지만 얼음이 녹을 때를 생각 안할 수 없었습니다.



녹아내린 해빙수는 고드름 뿐만 아니라

바닥의 얼음층도 두껍게 만들었습니다.




보이는 얼음 층 밑에 사실 배수로가 있었습니다.

눈이나 얼음이 녹아도 배수가 안되니

얼음이 점점 두꺼워 지고

얼음을 제거하기 더 어려워 지는 것입니다.




밑에 보이는 오돌도돌한 얼음 조각 들은 기둥에서 녹아 떨어진 것들이었으나

다시 얼어서 붙어버렸습니다.




바닥 얼음이 점점 두꺼워 집니다.




날씨가 조금 풀리면 아래 사진처럼

벽과 얼음이 들뜨게 됩니다.




사실

요 주변이 주차구역이여서 소방서에 전화해서

얼음 제거를 문의했었습니다.

근데... 날씨가 너무 춥고

얼음을 제거하다 시설에 피해가 갈 수 있다고 해서

그냥 알아서 녹아 없어질 때까지 기다리는게 좋겠다고 말씀해 주시더라구요.





어쩔 수 없이 이쪽은 겨울 내내 금지구역으로 지정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2018년 5월 23일 수요일

겨울철 홈통/빗물받이 갈라짐 과정 목격

겨울철 홈통/빗물받이 갈라짐 과정 목격



그늘에 있는 홈통 파이프에서 무럭무럭 고드름이 자라는 동안

다른 옆에 배관에서도 얼음이 자라는 징조를 보이고 있더군요.





저번과 마찬가지로 배관 밑으로 고드름이 생겼고

파이프가 갈라져 그 틈으로 물이 흘러 나오면서

배관 주위에도 얼음이 얼기 시작했습니다.




이건 또 무슨일인가 싶어 찾아보니

홈통에 얼음이 완전히 얼어

물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있던거 같더라구요.





빗물받이 홈통 끝까지 눈녹은 물이 차서

바람불면 찰량찰량 흔들리며

밖으로 물이 쏟아지더라구요.




그러다가 갑자기 파이프 중간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처음에는 물이 쫄쫄 나오기 시작해서

이렇게 물이 빠지나보다 했는데요



갑자기 폭발했습니다.

파이프 갈라지는 줄 알았네요




결국

물이 다 빠져나갔는지

다시 올라가 확인해보니 빗물받이가 텅 비었습니다.




어떻게 얼음이 크게 얼어 파이프가 터져버리는지 알게 되었네요.

다행이 날이 따뜻해져서 눈녹은 물이 잘 배출된 것 같아요.

만일 기온이 낮았다면 이 파이프는 완전 깨져버렸겠죠.

무섭네요.




겨울철 홈통 동결/동파 사고 갑자기 날벼락

겨울철 홈통 동결/동파 사고 갑자기 날벼락 





지난겨울 공장 건물에 동파사고가 날뻔 했습니다.

어느날 출근해서 보니 홈통(?) 빗물받이 겉면에 얼음이 얼음이 다닥다닥 붙어 있었습니다.




무슨일인가 보니 홈통 중간에 틈이 벌어져 있더라구요.

벌어진 틈으로 눈 녹은 물이 파이프 밖으로 세서 파이프 밖으로 살얼음이 얼었던 것이였습니다.





잘 안보여서 가까이 찍어 봤는데요.

갈라진 틈 위로는 얼음이 없는데 틈 아래로는 얼음이 얼게 되네요.

눈 녹은 물이 홈통 안으로 안 흐르고 밖으로 다 나오는 것 같네요.



아래는 다음날 사진입니다.

겉면에 얼음이 점점 많아지고 파이프 내부에서 얼었던 얼음이 배관을 통해 나와 깨져 있네요.

이게 홈통 파이프를 벌어지게 만들었던 원인이였던거 같아요.



이건 또 다음날입니다.....

그러네요. 고드름(?)얼음(?) 커지는게 하루가 다르네요.

날씨가 그렇게 춥지 않았는데... 여기가 그늘진 곳이라 얼음이 더 쉽게 어는 거 같더라구요.

방심했다가 일이 커진거 같네요.




또 다음날입니다.

쑥쑥자랍니다 얼음이...

홈통 파이프가 몇 번 손상을 더 입었던거 같아요

얼음 주변에 물이 사방으로 튀어서 벽이 얼었는데

무슨 냉동창고 같았습니다.



이 고드름/얼음을 어떻게 제거해야 하나...

엄두가 안나네요.





2018년 5월 22일 화요일

Xarex Industrial Heating Cable Line up

Xarex Industrial Heating Cable Line up

Xarex has been trusted manufacturer of self-regulating heating for more than 20 years.
We are continually expanding our product line-up to meet a variety of market demands.
Currently, Xarex provides comprehensive self-regulating heating cable line-up for residential, commercial and industrial uses.

- Industrial application: XHT / XHL / XHM / XHU for pipe freeze protection and temperature maintenance


Xarex Commercial & Residential Heating Cable Line up

Xarex Commercial & Residential Heating Cable Line up


Xarex has been trusted manufacturer of self-regulating heating for more than 20 years.
We are continually expanding our product line-up to meet a variety of market demands.
Currently, Xarex provides comprehensive self-regulating heating cable line-up for residential, commercial and industrial uses.

– Commercial & residential application: RPH / XGR / FM / FSR for pipe freeze protection, roof & gutter de-icing, surface snow melting and floor heating



온수시설 수온에 관환 권고사항

온수시설 수온에 관환 권고사항



상업용 시설에서 온수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한 권고설정 값입니다.
위와 같은 시설은 보통 self-regulating heating cable을 활용한 heat tracing을 통해 열손실을 보충하게 됩니다.


먼저 트레이스 히팅 공급업체(열선 설치업체)는 작동온도 및 시스탬 최대 온도를 확인해야 합니다.
배관 시스템의 온도가 65°C를 넘은 온도에서 작동하는 경우 또는 처음 작동 시 85°C를 넘어서는 경우, 트레이스 히팅 공급업체는 적합한 성능을 가진 열선 선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명시해야 합니다.


(보통 일반 열선(T6급)의 사용온도는 65°C 최고 노출온도 85°C의 한계를 가집니다.)
(고온용 열선은 T5(최고 노출온도 100°C), T4(최고 노출온도 135°C), T3(최고 노출온도 200°C), T2(최고 노출온도 300°C) 급의 열선이 있고 자세한 정보는 열선 제조사에 문의해야 합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 시스템과 접촉하는 모든 부위에 최대 견딜 수 있는 온도를 초과하지지 않도록 열선을 선정/시스템을 설계해야 합니다.


라인센싱 온도제어 장치는 주위 온도변동이 3°C를 넘고, 수직(입상)배관이 3m보다 길거나, 수온을 80°C 또는 그 이상으로 유지해야 할 때 사용을 권합니다.

적용
온도(°C)
비상 샤워기 및 안구세척기
16-35
혼합 밸브가 없는 온수시설
40
양로원 및 병원
40/46
일반용
49-60
세탁시설
71
부엌 위생처리
82
* 특별 적용온도요건에 관해서는 지역 규정을 참고해야 한다.

혼합 밸브를 사용하는 온수 시설의 경우 살균 처리를 위해서 최소 55°C가 요구됩니다. 

신뢰성, 교정의 편리성 그리고 좁은 온도 범위 (narrow differential temperature band)를 가진 시스템에는 제어판넬을을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Trace heater(열매체, 열선) 선정

Trace heater(열매체, 열선) 선정



트레이스 히터(열선)를 선정하는데 있어 기본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열선의 최고 한계 온도(Maximum withstand temperature)가 적용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최대 허용 가능한 온도(정상 작동 온도보다 높을 수 있음)보다 높아야 합니다.
 - 트레이스 히터는 부식성 환경이나 낮은 온도환경 등과 같이 조건에서 작동할 수 있어야 합니다(제조/판매업체에 문의필요).
- 그 외 특수한 상황에서 트레이스 히터를 사용 시 IEC 62395-1:2013의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IEC 62395-1
-> Electrical resistance trace heating systems for industrial and commercial applications-
part 1: general and testing requirements


현장 조립된 트레이스 히터의 경우 다음과 같은 조건 하에서 사용해야 합니다.

- 설치 관리자가 요구되는 기법을 능숙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경우(설치자격 확인)
- 트레이스 히터가 명시된 현장 시험을 통과한 경우(인증 확인)
- 트레이스 히터가 IEC 62395-1:2013의 요건에 부합하는 경우(인증 확인)


시스탬의 각 회로 설계에서 허용 가능한 최대 출력을 제한하는 것은 트레이스 히터가 온도 제한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이는 이론상의 공식을 이용해 계산되며 이후 트레이스 히터 공급업체의 실험자료 결과에 맞춰 조정하게 됩니다.


각 열매체의 최대 허용 출력의 극한값은 공급업체의 데이터 값이나 시스템에 명시된 값 중 작은 값을 택합니다. 필요할 경우 멀티플 트레이싱(multiple tracing)을 활용해 출력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실제 발현되는 발열량(load)은 설계 량보다 작아서는 안 되며, 출력은 위의 산출값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멀티플 트레이싱이나 한 개의 트레이스 히터를 스파이럴 기법(spiralling)으로 감는 것이 요구될 수도 있습니다.

트레이스 히터의 종류 및 실제 부하값과 출력 밀도값은 시스템 관리문서에 지속적으로 기록/관리해야 합니다.

트레이스 히터의 종류/열선의 종류

트레이스 히터의 종류/열선의 종류



트레이서 히터/열선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전기적 특성에 의해 구분됩니다.

직렬식 열선는 대체로 전도체를 발열체로 이용하는데, 이 때 공급전압과 열선길이는 각 회로 설계에 있어 핵심적인 매개변수가 됩니다.



폴리머(polymeric insulation)를 사용하는 직렬식 트레이스 히터는 긴 회로설치에 적합하며, 미네랄(mineral insulation, MI)과 금속 시스를 사용하는 직렬식 트레이스 히터는 초고온 및 전력밀도가 높은 상황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병렬식 트레이스 히터는 두개의 평행한 도체와 독립된 폴리머 또는 금속 발열체를 사용해 도체로부터 전압을 발생시킵니다.

이는 주로 복합 배관(complex piping)의 동파방지 및 온도유지를 위해 사용됩니다.


주의 온도에 따라 발열량이 변하는 Self-regulating heating cable과 같은 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유형은 보통 두 평행 도체와 그 사이에 돌출된 폴리머 발열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Constant 유형은 나선형으로 말려있는 금속 발열체를 가지고 있는 것이 전형적 특성며, Power-limiting 유형은 PTC 유형에 비해 고온 환경에서 높은 출력을 가지고, Constant 유형에 비해 최고 온도가 낮다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두 유형의 중간점에 있습니다.

Xarex Heating Cable Line up

Xarex Heating Cable Line up


Xarex has been trusted manufacturer of self-regulating heating for more than 20 years.
We are continually expanding our product line-up to meet a variety of market demands.
Currently, Xarex provides comprehensive self-regulating heating cable line-up for residential, commercial and industrial uses.

– Industrial application: XHT / XHL / XHM / XHU for pipe freeze protection and temperature maintenance

– Commercial & residential application: RPH / XGR / FM / FSR for pipe freeze protection, roof & gutter de-icing, surface snow melting and floor heating